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 #7 - 교수설계 절차 #4 - 세부목차 및 주요 학습내용 선정

태그: 교수설계, 강의설계, 강의계획서, 목차설정, 학습내용 구성, 강사입문자

오늘은 교수설계 절차 4단계인 세부목차 및 주요 학습내용 선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앞서 2단계에서 이미 핵심주제를 도출하였기 때문에 세부목차를 구성하는 것은 큰 어려움은 없을겁니다. 왜냐하면 바로 핵심주제가 세부목차로서의 역할을 하기때문입니다. 핵심주제를 잘 도출하였다면 유사한 것끼리 그룹핑해서 모듈로 묶어주고 학습분량을 감안해서 핵심주제끼리 서로연결시켜주기만하면 됩니다.
위에 예시로 보는 세부목차는 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의 세부목차이며 핵심주제를 바탕으로 도출한 것입니다.

주요 학습내용은 핵심주제를 설명하는 학습내용중에 주요 키포인트를 키워드 형태로 도출하면 되는데 이는 학습내용이 어떤 것이 있는지를 나타내주기도 합니다.
그래서 학습자가 목차와 주요 학습내용만 보고도 어떤 교육내용인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줍니다.
주요 학습내용까지만 잘 도출하시면 뼈대작업까지는 끝난 것입니다.
교안을 만들거나 교재를 만들때 여기에 살만 붙이면 완성되는 것이죠.




그렇다면 학습내용은 어떻게 구성(조직 및 배열)하면 될까요?
학습내용 구성은 상세화된 학습 요소의 내용 및 순서를 결정하는 것으로써 여러가지 방법들이 있는데 그 중에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첫 번째는 주제별로 학습내용을 제시합니다.
두 번째는 특정한 시간적 순서로 개념이나 역사적 사실을 제시합니다.
세 번째는 실제로 일을 수행하는 순서에 따라 학습내용을 제시합니다.
네 번째는 잘 알려진 사실이나 정보를 먼저 제시하고 잘 알려지지 않은 것을 나중에 제시합니다.
다섯 번째는 단순하거나 쉬운 것을 먼저 제시하고 복잡하거나 어려운 것을 나중에 제시합니다.
여섯 번째는 일반적인 것을 먼저 제시하고 특수한 내용을 나중에 제시합니다.
일곱 번째는 전체적인 개요를 먼저 제시하고 그와 관련된 개별적 내용을 순차적으로 제시합니다.
마지막으로 전체를 구성하는 개별적 내용을 먼저 제시하고 나중에 전체적인 개요를 제시하는 방법입니다. 
이거를 다 외우실 필요는 없겠죠. 어떤 것들이 있는지만 개략적으로 알고만 계시고 직접 결과물을 만들 때 자료를 참고하면서 만들면 되니까요^^

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은 이중에서 세 번째인 일을 수행하는 순서에 따라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즉 교수설계 8단계로 나누고 그 절차 순서에 따라 제시되고 있는 것이죠. 제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교육 내용에 따라서 적절한 방법을 사용하시면 되겠지요.

교육내용은 "교육대상자에게 어떤 목표를 달성하게 할 것인가?" 라는 물음에서 시작되어야 합니다.
어떤 목적과 목표를 위해 교육할 것인지가 먼저 도출되어야 가장 효과적으로 교수설계 및 전략을 수립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교육 내용은 목표를 달성하는 데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을 최소의 양으로 구성하고 알면 좋은 것 그리고 같은 내용을 반복하는 것 등은 자제해야 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아래 양식을 다운로드 받아서 직접 작성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 양식 다운로드 안내: http://blog.matew.com/2015/10/blog-post_6.html

[참고문헌]
  • 권성호 (1998) 교육공학의 탐구. 경기도: 양서원. 
  • 김동식, 정옥년, 장상필 (2002).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서울: 원미사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 서울: 중앙공무원교육원 
  • 한국교육공학회 (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 Mager, R. (1984).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Belmont, CA: Fearon/Pitma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