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 #4 - 교수설계 절차 #2 - 핵심주제 및 목표 기술 #2

태그: 교수설계, 강의설계, 강의계획서, 강사입문자, 핵심주제, 학습목표, 교육목표, 교육목적, ABCD 목표기술 방법





저는 교수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바로 학습목표 수립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부터 교수설계 두 번째 절차인 핵심주제 및 목표기술 중 핵심주제에 이어 두 번째로 목표기술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학습목표는 학습자가 학습을 마치고 성취도를 증거로서 보여주어야 할 행동이며, 학습을 성공적으로 마쳤을 때 학습자가 성취해야 할 행동 양식을 서술한 것입니다.
그러므로 학습목표는 명확하게 제시되어야 학습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가 되며, 목표 달성을 위한 최적의 수업방법과 교수전략은 물론 학습자료 및 수업매체 등을 비롯한 수업환경을 조직할 수 있어 학습효과도 높일 수 있는 것입니다.

학습목표는 등대와도 같은 존재입니다.
어두운 밤바다에서 한줄기 빛을 비춰줌으로써 배들이 길을 잃지 않고 항해할 수 있게 하듯이 학습목표는 학습할 내용이 방향성을 잃지 않고 전개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학습자들이 성취해야 할 학습범위를 제한함으로써 학습내용을 좀 더 명확하게 제시할 수 있게합니다.
또한 교육을 효과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본 지침서 역할을 하며, 학습자에게 자신이 달성할 목표를 심어줌으로써 동기를 유발시키는 효과를 줍니다.
이번에는 ABCD 목표기술 기법을 활용한 학습목표 기술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학습목표의 구성요소를 크게 4가지로 구분하여 기술하는데 Audience(대상)는 학습대상자를 제시하는 것을 말하며, Behavior(행동동사)는 학습결과가 기대되는 행동을 행동동사로 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리고 Condition(행동 조건)은 학습자 성취행동이 발생하는 상황 또는 조건을 제시하는 것을 말하며, Degree(행동 기준)는 학습자 성취 행동이 도달해야 할 기준을 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그럼 위에 ABCD목표기술 방법을 활용해서 오늘의 학습목표를 기술해볼까요?
목표기술 방법에 대한 학습을 마치고 나면 (조건:C) 
본 학습을 수강한 학습자들은 (대상:A) 
ABCD 목표기술 방법을 적용하여 (기준:D) 
학습목표를 기술할 수 있다. (행위:B) 





학습목표 기술방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로 행동동사로 표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행동동사로 표현되어야 학습자가 목표를 달성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인데 예를 들면 목표를 "ABCD 목표기술 방법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또는 "생각해본다" 이런식으로 목표를 잡는다면 학습자의 이해 정도는 평가할 수 있는 기준도 모호하며 "생각해본다" 역시 학습자의 습득여부를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기술할 수 있다"라고 목표를 잡는다면 학습자가 기술하거나 작성할 수 있다면 목표를 달성했다고 볼 수 있는 것이죠.  
위에 행동동사가 잘 적용된 사례를 보면 무엇을 해야 하는지 명확하게 제시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인사하라, 정장을 입어라, 담배 피우지 마라 등 어떤 행동을 취할 수 있게 함으로써 목표를 명확하게 해줌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무엇을 어떻게 어느 정도 수준까지 해야하는지를 알 수 있는 것입니다.

아래 표는 효과적인 교수설계 기법의 목표를 기술한 내용입니다. 
여러분이 이번 포스팅을 잘 이해하셨다면 앞으로 강의계획서에서 목표수립하실 때 아래 표와 같이 작성하시면 되는 것입니다.
목표수립 시 지식/기술/태도와 내용/수행 수준에 대한 분류방법은 다음에 포스팅하겠습니다. (링크: 바로가기)
다시한번 정리하자면 이번 포스팅의 요점은 바로 교육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최종목표를 기술하고, 그 최종목표를 달성할 수 있도록 핵심주제별로 세부목표를 수립하는 것입니다.
누차 말하지만 교육과정을 설계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부분임을 명심하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아래 강의계획서 양식을 다운로드 받으셔서 강의개발하실 때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 양식 다운로드 안내: http://blog.matew.com/2015/10/blog-post_6.html

[참고문헌]
  • 권성호 (1998) 교육공학의 탐구. 경기도: 양서원. 
  • 김동식, 정옥년, 장상필 (2002).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서울: 원미사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 서울: 중앙공무원교육원 
  • 한국교육공학회 (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 Mager, R. (1984).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Belmont, CA: Fearon/Pitma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