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교수설계, 강의설계, 강의계획서, 강사입문자, 교수설계 개념, 교수설계 절차
오늘부터 8주 동안 강사입문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오프라인 교육은 온라인 교육에 비해 교수설계가 미흡하게 강의가 개발되고 있는게 많은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오프라인 교육은 강사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온라인 교육은 교수설계 전문가와 내용전문가의 협업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겠지요.
그래서 강사입문자 입장에서 자신의 컨텐츠를 오프라인 강좌로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강의계획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프롤로그 시간에는 교수설계 개념과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교수설계란 학습목표를 수립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게 할 것 인지에 대해서 교수-학습 전략을 기획하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교육 강좌를 개발할 때 어떻게 하면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학습자에게 줄 수 있을 것인가라고 볼 수 있겠죠.
설계가 중요한 이유는 건축을 예를 든다면 건물공사를 할 때 건축설계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부실 시공으로 이어져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뉴스를 통해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마챦가지로 교육도 역시 교수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져야만 교육 목적에 맞는 설계 방향대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육 내용을 전달(전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번에 포스팅에서는 교수설계 절차를 크게 8단계로 나누어서 설명을 드릴텐데요.
1단계에서는 교육 목적 및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2단계에서는 핵심주제 및 목표를 기술합니다.
3단계에서는 평가 전략을 수립합니다.
4단계에서는 세부목차 및 주요 학습내용을 선정합니다.
5단계에서는 학습플로우를 설정합니다.
6단계에서는 교수방법 및 전달매체를 선정합니다.
7단계에서는 동기부여 및 상호작용을 설계합니다.
마지막으로 8단계에서는 평가항목 및 학습시간을 설정합니다.
프롤로그 포스팅에서는 교수설계 개념과 교수설계 절차의 순서에 대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교수설계 절차 1단계부터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참고문헌]
오늘부터 8주 동안 강사입문자를 위한 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에 대한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오프라인 교육은 온라인 교육에 비해 교수설계가 미흡하게 강의가 개발되고 있는게 많은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오프라인 교육은 강사중심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고 온라인 교육은 교수설계 전문가와 내용전문가의 협업으로 개발이 이루어지기 때문이겠지요.
그래서 강사입문자 입장에서 자신의 컨텐츠를 오프라인 강좌로 개발할 때 활용할 수 있는 교수설계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고 강의계획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프롤로그 시간에는 교수설계 개념과 절차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먼저 교수설계란 학습목표를 수립하고 교육내용을 선정하여 어떻게 가르치고 배우게 할 것 인지에 대해서 교수-학습 전략을 기획하는 것을 의미하며, 교육을 보다 효과적으로 가르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말하자면 교육 강좌를 개발할 때 어떻게 하면 보다 높은 학습 효과를 학습자에게 줄 수 있을 것인가라고 볼 수 있겠죠.
설계가 중요한 이유는 건축을 예를 든다면 건물공사를 할 때 건축설계가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부실 시공으로 이어져 건물이 무너져 내리는 사고를 뉴스를 통해 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마챦가지로 교육도 역시 교수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져야만 교육 목적에 맞는 설계 방향대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육 내용을 전달(전이)할 수 있는 것입니다.
1단계에서는 교육 목적 및 대상자를 선정합니다.
2단계에서는 핵심주제 및 목표를 기술합니다.
3단계에서는 평가 전략을 수립합니다.
4단계에서는 세부목차 및 주요 학습내용을 선정합니다.
5단계에서는 학습플로우를 설정합니다.
6단계에서는 교수방법 및 전달매체를 선정합니다.
7단계에서는 동기부여 및 상호작용을 설계합니다.
마지막으로 8단계에서는 평가항목 및 학습시간을 설정합니다.
프롤로그 포스팅에서는 교수설계 개념과 교수설계 절차의 순서에 대한 포스팅을 하였습니다.
다음에는 본격적으로 교수설계 절차 1단계부터 세부적으로 살펴보겠습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참고문헌]
- 권성호 (1998) 교육공학의 탐구. 경기도: 양서원.
- 김동식, 정옥년, 장상필 (2002).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서울: 원미사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 서울: 중앙공무원교육원
- 한국교육공학회 (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 Mager, R. (1984).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Belmont, CA: Fearon/Pitma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