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교수(강의)설계 기법 #3 - 교수설계 절차 #2 핵심주제 및 목표 기술 #1

태그: 교수설계, 강의설계, 강의계획서, 강사입문자, 핵심주제, 학습목표, 교육목표, 교육목적


지금부터 교수설계 두 번째 절차인 핵심주제 및 목표기술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핵심주제와 목표설정은 분량이 많아 2회로 나눠서 포스팅하겠습니다.
핵심 주제란 교육목적을 달성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키포인트 역할을 하는 것을 말하며,
반드시 학습목적을 달성하는데 관련되어 있어야 합니다. 
핵심주제를 도출하는 방법은 여러가지 다양한 방법들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제가 사용하는 방법을 하나 소개해드립니다.
저는 핵심주제를 도출하는데 마인드맵을 활용해서 합니다.
사용법을 간략하게 설명드리자면 마인드맵 도구 중앙에 교육목적을 입력하고 교육목적과 관련된 주제어들을 하나씩 입력해 나가면서 중요한 순서와 비슷한 주제끼리 그룹핑하고 그중에 가장 관련성이 높은 것을 핵심주제로 선정하면 됩니다.

아래 마인드맵 이미지는 제가 이번 포스팅을 위해 만들어본 예시입니다. 






그렇게해서 만들어진 효과적인 교수설계 기법에서의 핵심주제는 아래와 같습니다. 
간혹 교육과정(강좌)을 개발할 때 핵심주제가 교육목적과 관련은 있지만 목적을 달성하는데 불필요한 것이 있습니다. 즉 없다고 해도 교육목적을 달성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들이죠.
아마도 많은 것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려는 욕심에서 나온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것도 알려주고 싶고 저것도 알려주고 싶고 내가 알고 있는 모든 것을 다 알려주고 싶은 맘에서 이겠지요.
하지만 이럴 경우 가르쳐야 할 것과 가르치지 않아도 되는 것 등이 섞이게 되고 학습 범위만 늘어남과 동시에 연계성도 떨어져 도대체 이 교육이 뭘 전달하려는지 방향성을 잃게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핵심주제는 반드시 최종 교육목적을 달성하는데 꼭! 필요한 것으로만 도출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핵심주제 및 목표 기술중 핵심주제에 대한 내용을 모두 마쳤습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 양식 다운로드 안내: http://blog.matew.com/2015/10/blog-post_6.html

[참고문헌]
  • 권성호 (1998) 교육공학의 탐구. 경기도: 양서원. 
  • 김동식, 정옥년, 장상필 (2002).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서울: 원미사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 서울: 중앙공무원교육원 
  • 한국교육공학회 (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 Mager, R. (1984).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Belmont, CA: Fearon/Pitman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