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경청, 의사소통, 공감적 경청, listen, 의사표현, 듣기
의사소통이란 상대방에게 나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방과 나의 메세지를 서로 나누는 과정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것 못지 않게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를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경청하는 일도 중요한 것이다.
최고의 토크쇼 진행자 중 한 사람인 오프라 윈프리의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보면 토크쇼를 진행하는 1시간 동안 자신이 말하는 시간 대략 10분 내외로 길지 않다.
토크쇼에서 그녀의 주요 역할은 게스트의 말을 귀기울여 듣고 그의 말에 공감해주는 일이다.
따라서 의사소통의 시작은 바로 경청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경청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리액션과 공감적 경청이다.
위에 김미경 강사의 강의내용 핵심은 바로 리액션을 통해서 액션을 끌어내는 공감적 경청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금희 아나운서의 아침마당 진행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그녀의 장점은 바로 게스트들의 말에 눈물을 흘리고, 박수쳐주고, 웃어주고하는 공감적 경청능력이다.
그리고 예능계의 국민MC 유재석은 방송 출연한 여러 게스트 중에서 말을 주도하는 게스트와 그렇지 못한 게스트 사이에서 조율을 잘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너무 말을 길게 하는 게스트가 있다면 그의 말을 귀기울여 잘 듣다가 적당한 시점에 살짝 잘라서 지금까지 말 한마디 못한 게스트에게 그 주제를 건네주면서 이야기를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처럼 의사소통 과정에서 경청이 매우 중요한데 그렇다면 의사소통은 어떻게하는 것이 바람직 할까?
그것은 바로 1/N의 시간만 말하고 나머지는 경청하는 것으로서 즉, 1시간 동안 4명이 대화한다고 가정하면 15분만 얘기하고 나머지 45분은 경청하면서 리액션만 하는것이다.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에서 공감적 경청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여서
공감적 경청이란 바로 이런 것이라고 보여주는 좋은 사례여서 공유합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참조]
[NCS]기초직업모듈-의사소통능력 워크북
사용된 이미지: https://pixabay.com/
의사소통이란 상대방에게 나의 메세지를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상호작용을 통해 상대방과 나의 메세지를 서로 나누는 과정이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내가 전달하려는 메시지를 이해하기 쉽게 전달하는 것 못지 않게 상대방이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를 함께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경청하는 일도 중요한 것이다.
최고의 토크쇼 진행자 중 한 사람인 오프라 윈프리의 의사소통하는 과정을 보면 토크쇼를 진행하는 1시간 동안 자신이 말하는 시간 대략 10분 내외로 길지 않다.
토크쇼에서 그녀의 주요 역할은 게스트의 말을 귀기울여 듣고 그의 말에 공감해주는 일이다.
따라서 의사소통의 시작은 바로 경청에서 비롯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경청에서 중요한 것이 바로 리액션과 공감적 경청이다.
위에 김미경 강사의 강의내용 핵심은 바로 리액션을 통해서 액션을 끌어내는 공감적 경청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 있다.
이금희 아나운서의 아침마당 진행을 보면 알 수 있듯이 그녀의 장점은 바로 게스트들의 말에 눈물을 흘리고, 박수쳐주고, 웃어주고하는 공감적 경청능력이다.
그리고 예능계의 국민MC 유재석은 방송 출연한 여러 게스트 중에서 말을 주도하는 게스트와 그렇지 못한 게스트 사이에서 조율을 잘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너무 말을 길게 하는 게스트가 있다면 그의 말을 귀기울여 잘 듣다가 적당한 시점에 살짝 잘라서 지금까지 말 한마디 못한 게스트에게 그 주제를 건네주면서 이야기를 이끌어나갈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이처럼 의사소통 과정에서 경청이 매우 중요한데 그렇다면 의사소통은 어떻게하는 것이 바람직 할까?
그것은 바로 1/N의 시간만 말하고 나머지는 경청하는 것으로서 즉, 1시간 동안 4명이 대화한다고 가정하면 15분만 얘기하고 나머지 45분은 경청하면서 리액션만 하는것이다.
드라마 "엄마가 뿔났다"에서 공감적 경청으로 상대방을 설득시키는 장면이 매우 인상적이여서
공감적 경청이란 바로 이런 것이라고 보여주는 좋은 사례여서 공유합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참조]
[NCS]기초직업모듈-의사소통능력 워크북
사용된 이미지: https://pixaba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