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1 - 퇴직 후 50년 당신의 노후는 안녕하십니까?

태그: 칼럼, 퇴직, 은퇴, 고령화, 노후준비, 건강, 재무, 인간관계, 활동, 아웃플레이스먼트, 인생 2막, 1인기업, 1인창조기업

20140528-10262949605.jpg
직장인을 대상으로 퇴직 나이를 묻는 설문에 무료 56퍼센트가 50세 미만이라고 답변 하였습니다. 
여러분도 이와 다르지 않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저 역시 그렇게 예측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대기업의 경우 50세 이상 임원의 비율이 1% 내외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50세 이상 직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비율이 1%에 들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100세 시대인 요즘 퇴직 후 50년 동안은 어떻게 살아야 할까요? 
은퇴 후 30년 동안의 생활비가 월 2백만원씩 계산했을 때 무려 7억 2천만원 정도 필요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50년으로 계산한다면 12억으로 이보다 훨씬 높아집니다. 
여러분이 은퇴하기 전에 준비 하실 수 있을 만한 돈인가요? 아닐 겁니다. 안타깝게도 저 역서 그런 돈은 모을 자신이 없습니다. 로또에 당첨되지 않는 한 절대 만져볼 수도 없는 돈입니다.

일반적으로 노후준비는 재무관점에서만 준비를 많이 하고 있지만 최근에 들어서는 위에 영상에서 보듯이 노후준비를 크게 재무, 건강, 활동, 관계 4가지 측면에서 준비해야 한다고 합니다.
재무는 기본적으로 국민연금, 퇴직연금, 개인연금 이렇게 3단콤보가 있으며, 거기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으면 주택연금도 포함하여 4단콤보를 준비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리고 직장인이 아닌 자영업의 경우는 퇴직연금을 대신한 노란우산공제 제도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연금설계를 통해 최소 월 200만원의 연금이 지급받을 수 있도록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이 중요한 자산중에 하나가 되는 이유는 바로 생활비의 많은 부분이 의료비로 지출되기 때문일 것입니다.
매월 연금으로 200만원씩 받는다고 해도 의료비 지출이 포지션을 많이 차지하고 있다면 턱없이 부족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꾸준한 운동으로 건강관리를 하지 않으면 더 많은 돈을 축적해 놓아야 하는 것입니다.

관계영역은 가족, 친구, 지인간의 인간관계를 나타내는데 나이가 들어서 돈이 아무리 많더라도 주변에 같이 할 수 있는 사람이 없다면 행복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저희 아버지 같은 경우도 은퇴 후 외부 활동도 거의 없이 혼자 쓸쓸히 여생을 보내다 가셨는데 결코 행복한 모습은 아니였던 것 같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관계영역 역시 매우 중요한 항목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나이들어서 나와 함께 밥을 먹고 취미활동을 하고 술 한잔 기울일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정말 즐거운 노후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요.  

활동영역은 취미나 자원봉사 등의 활동하는 것을 말하는 것인데 일을 할때 바쁘다는 이유로 할 수 없었던 자원봉사도 하고, 배우고 싶었던 것, 가보고 싶었던 국내외 여행 등 다양한 활동을 말하는 것입니다. 물론 건강하지 못하면 활동하는데 제약이 따르므로 건강관리는 선행되어야 하겠습니다.  







위에 영상에서 보면 행복한 노후 조건이라는 설문조사에서 첫 번째는 건강을 두번째로는 남성은 배우자를 선택하고 여성은 돈을 선택한 것이 좀 충격적이네요^^
아마도 결혼생활에 있어서 남편으로서의 역할이 미흡하지 않았나 생각되는군요.
결혼생활에서 아내한테 정말 잘 해야 하겠습니다. 노후에 팽~ 당하지 않으려면 말입니다.
아내가 남편에게 바라는 점 1위가 청소라고 합니다. 그거라도 잘 도와줘야 겠습니다.


평생직장이라는 말은 이미 사라진지 오랩니다. 지금은 오히려 평생직업이라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어디서 일하느냐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어떤 일을 전문성을 가지고 하느냐가 중요하다는 말입니다.
현시대를 스마트라이프 시대라고도 합니다. 
스마트라이프 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지금 스마트폰 하나면 대부분의 것을 해결할 수 있습니다. 
처음가본 여행지에서도 헤매거나 길을 잃을 염려가 없습니다. 유명한 음식점이나 숙박시설도 지역주민에게 물어볼 필요가 없습니다. 필요한 지식이나 정보는 언제 어디서나 간단하게 검색해서 찾을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소셜 그리고 빅데이터로 무장한 현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역사상 가장 강력한 슈퍼개인이라고 할 수 있지 않을까요? 

슈퍼개인의 탄생은 오늘날 1인기업의 증가로 이어지고 곧 세계적인 추세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대한민국도 독자적인 경제활동을 하는 1인기업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중소기업청에 따르면 한국에서 1인기업의 수는 매년 5퍼센트씩 성장하고 있다고 합니다. 이는 향후 직장의 퇴조와 함께 더욱 빠른 속도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어쩌면 직장에 다니고 있는 사람들 조차 기업의 일원이 아닌 1인기업가 마인드를 가지고 업무에 임하는 것도 전혀 이상하지 않는 세상이 올지도 모르겠군요. 평생 할 일은 정말 하고 싶어서 하는 일임과 동시에 자신이 정말 잘하는 일이어야 할 것입니다. 
고소득을 전제로 하기보다는 일을 통해서 성취감과 보람을 느낄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기계발에 평생을 투자해야 하며, 어느 분야에서든 달인의 경지에 오를 정도로 그 분야에서 전문가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끊임없는 자기계발과 평생에 걸쳐 자신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말아야 합니다.
그렇게함으로써 퇴직 후 1인기업가로서 최소한 70세까지는 일을 가지고 소득을 가지고 있어야 은퇴 후 연금과 저축한 돈을 가지고 행복한 노후를 보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저의 경우는 40대에 1인기업으로 창업하여 70세까지 약 30년 간 일을 가지고 살면서 재무, 건강, 활동, 관계영역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퇴직 후 목돈으로 치킨집이나 음식점을 차리는 것보다는 자신의 전문분야를 살려 1인기업으로 살아남는 것이 위험도 낮고 성공할 확률은 높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요리가 전문인 분은 음식점을 차리는 것이 맞겠습니다만 그렇지 않은 분들은 지양하는 것을 권합니다. 

이번 포스팅을 보시는 분이 계시다면 꼭 철저한 노후준비로 위에 사진과 같은 노후생활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지금까지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재무영역은 월 200만원 연금이 발생될 수 있도록 준비할 것
건강영역은 규칙적인 운동과 식습관 및 정상체중 유지할 것
관계영역은 10년 이상된 절친을 최소 10명 이상 만들고 유지할 것
활동영역은 퇴직전까지 자신의 전문분야를 개발하고, 퇴직 후 70세까지는 소득을 발생시켜야 하며, 은퇴 후에도 다양한 활동(취미, 봉사 등)을 가질 것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용어정의]
퇴직: 현재 다니고 있는 직장을 그만 두는 것
은퇴: 모든 경제활동에서 물러나는 것
은퇴는 경제적 수입을 창출하지 않고 오직 지출만 하는 것을 말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