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교수설계, 강의설계, 강의계획서, 강사입문자, 학습흐름도, 학습플로우
도입단계에서는 학습할 내용의 개관을 소개한다던지 학습목표를 제시합니다.
그리고 강사의 강의로만 구성할 경우 자칫 일방향적 교육이 될 수 있으니 가급적 학습자 활동을 함께 넣어서 양방향적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바람직합니다.
이 부분은 7단계 상호작용 설계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교수설계 절차 5단계인 학습플로우 설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학습플로우 설계라고 하면 거창하게 들리겠지만 말그대로 학습흐름도를 만드는 작업인데 어렵지는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은 도입-학습-마무리 이렇게 3단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마도 80~90% 이상의 교육프로그램이 모두 이러한 패턴으로 되어 있을 겁니다.
영화에서 보면 기-승-전-결 형태로 제작되는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도입단계에서는 학습할 내용의 개관을 소개한다던지 학습목표를 제시합니다.
물론 아이스브레이킹도 여기에 포함되겠지요.
학습자들에게 주의를 집중시키기 위한 단계라고 보시면 됩니다.
여기서 학습자들에게 주의를 집중시켜야지만 본 학습에서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영화에서 시작 후 첫 10분이 매우 중요한 것처럼 교육에서도 도입단계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온라인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에는 도입단계에서 다양한 기능과 전략을 활용하여 학습자들의 주의집중 및 동기부여 시키고 있습니다.
여기서는 학습목표 및 학습자들과 관련있는 강의 내용구성과 자신감을 불어넣을 수 있는 학습자 활동이 매우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강의를 듣다보면 관련성 없는 내용 즉, 삼천포로 빠지시는 강사분들이 간혹 있습니다.
학습주제와 무관한 자신의 이야기 및 PR 등 전혀 상관없는 내용인데 물론 재미있으라고 얘기를 하는 것인데 그러다가 학습시간이 부족하여 마무리가 잘 안되기도 합니다.그리고 강사의 강의로만 구성할 경우 자칫 일방향적 교육이 될 수 있으니 가급적 학습자 활동을 함께 넣어서 양방향적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해주시는게 바람직합니다.
이 부분은 7단계 상호작용 설계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마무리에서는 지금까지 학습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평가를 합니다.
물론 질의응답도 반드시 포함되어야 하겠지요.
만족도 평가도 이 단계에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무리에서는 학습자들에게 만족감을 주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질의응답시간에 궁금한 사항에 대한 충실한 답변과 함께 오늘 배운 내용 중에 키포인트 중심으로 한 번더 강조해서 정리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플로우는 거창하게 이름을 붙이기는 하였으나 대부분 강의를 개발하실 때 이런 패턴으로 만들고 있기때문에 특별할 것은 별로 없을겁니다.
다만 강사입문자 입장에서 강의를 개발할 때 도입-학습-마무리에서 어떤 패턴으로 진행되며 어떤 전략으로 개발해야하는지 정도는 알고 있어야 하기에 간단하게 설명드렸습니다.
ARCS전략에 대해서는 7단계 동기부여 설계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 권성호 (1998) 교육공학의 탐구. 경기도: 양서원.
- 김동식, 정옥년, 장상필 (2002). 교수설계이론의 탐구. 서울: 원미사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 서울: 중앙공무원교육원
- 한국교육공학회 (2005). 교육공학 용어사전. 서울: 교육과학사
- Mager, R. (1984). Preparing instructional objectives. Belmont, CA: Fearon/Pitman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