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HRD, HRD전문가, 교육과정 개발, 요구분석, 요구분석의 개념, 요구의 유형

요구란 일반적으로 현재상태 (As Is)와 바람직한 상태 (To Be) 간의 차이를 말하며,
HRD에서의 요구분석이란 교육을 계획하기에 앞서 교육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절차로서 조직의 중요한 이슈와 관련된 요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을 추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요구의 유형에는 그림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경영요구(Business Needs)는 조직, 부서의 목표 또는 성과와 관련된 요구이며,
수행요구(Performance Needs)는 특정직무수행자들의 직무수행상 행동과 관련된 요구를 말한다.
그리고 직무환경요구(Working Environment Needs)는 성공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원되어야 할 직무환경인 제도, 시스템, 프로세스 등과 관련된 요구이며, 교육요구(Training Needs)는 성공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 스킬, 태도와 관련된 요구를 말한다.
그렇다면 아래의 예시는 어떤 요구를 말하는 것인지 한번 생각해보도록 하자.
위의 예시 2와 같은 경우는 잘못된 교육적 요구 일 수 있다.
왜냐하면 직원이 인사를 하지 않은 것은 예절의 문제가 아닌 다른 문제로 인해 생길 수 있으며,
매출 하락 역시 애사심의 문제가 아닌 다른 원인이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분석이 필요한 것이다.
교육은 문제해결의 한 수단일 뿐 만병통치약은 결코 될 수 없다.
모든 문제는 원인에 따라 필요한 처방을 내려야 하며,
그 중에서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만 교육적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 참고문헌

요구란 일반적으로 현재상태 (As Is)와 바람직한 상태 (To Be) 간의 차이를 말하며,
HRD에서의 요구분석이란 교육을 계획하기에 앞서 교육의 타당성을 검증하는 절차로서 조직의 중요한 이슈와 관련된 요구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를 확인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교육내용을 추출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요구의 유형에는 그림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경영요구(Business Needs)는 조직, 부서의 목표 또는 성과와 관련된 요구이며,
수행요구(Performance Needs)는 특정직무수행자들의 직무수행상 행동과 관련된 요구를 말한다.
그리고 직무환경요구(Working Environment Needs)는 성공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지원되어야 할 직무환경인 제도, 시스템, 프로세스 등과 관련된 요구이며, 교육요구(Training Needs)는 성공직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알아야 할 지식, 스킬, 태도와 관련된 요구를 말한다.
그렇다면 아래의 예시는 어떤 요구를 말하는 것인지 한번 생각해보도록 하자.
[예시 1]
(1) 요즘 영업소의 매출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습니다. 작년대비 70% 수준에 불과합니다.
(2) 아마도 조직의 영업소 설계사들이 팀으로 구성되어 활동하는데 서로간에 고객정보 공유와 협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문제인 것 같습니다.
(3) 물론 계약 1건 당 인센티브가 경쟁사에 비해 10% 정도는 적지만 그건 큰 문제는 아닐 겁니다.
(4) 설계사들이 서로의 정보를 공유하고 협업이 잘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조직 활성화” 교육을 실시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위의 예시에서는 네 가지 요구를 동시에 얘기하고 있으며,
(1)번은 조직요구, (2)번은 수행요구, (3)번은 직무환경요구, (4)번은 교육요구라고 말할 수 있다.
|
[예시 2]
|
위의 예시 2와 같은 경우는 잘못된 교육적 요구 일 수 있다.
왜냐하면 직원이 인사를 하지 않은 것은 예절의 문제가 아닌 다른 문제로 인해 생길 수 있으며,
매출 하락 역시 애사심의 문제가 아닌 다른 원인이 문제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요구분석이 필요한 것이다.
교육은 문제해결의 한 수단일 뿐 만병통치약은 결코 될 수 없다.
모든 문제는 원인에 따라 필요한 처방을 내려야 하며,
그 중에서 교육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해서만 교육적 접근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 참고문헌
-
최정임 (2013).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학지사, 서울.
-
-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2007)
최정임 (2013).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요구분석 실천 가이드. 학지사, 서울.
중앙공무원교육원 (2007). 교육훈련(HRD) 담당자 업무 매뉴얼(2007)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