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스널브랜딩 #3 - 목표 설정

태그: 퍼스널브랜드, 퍼스널브랜딩, 핵심가치, 가치관, 아이덴티티, 비전, 미션, 목표, 포지셔닝, 커뮤니케이션



이번에는 퍼스널브랜딩 세 번째 챕터 목표 설정에 대해서 포스팅하겠습니다.
최근에 미국 success지에서 1953년 예일대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22년 후를 추적하여 설문 조사한 연구 결과가 있었습니다. 목표를 가지고 살아간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어떤 인생을 살고 있는지 말이죠. 3개의 설문에 모두 응답한 상위 3% 계층이 나머지 97% 계층에 비해 무려 10배에 가까운 소득 격차를 보였다고 합니다. 이 연구 조사에서는 목표가 왜 중요한 지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는데요. 목표가 있는 삶과 없는 삶 중에서 여러분은 어떤 삶을 사시겠습니까?







그럼 본격적으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해 보겠습니다.
먼저 목표는 장기목표, 중기목표, 단기목표 이렇게 3가지 형태로 작성해 보겠는데요. 
장기목표는 100세 시대에 맞게 20대부터 90대에 이르기까지 세대 별로 작성하는데 개인적 관점, 직업적 관점, 사회적 과점으로 구분해서 작성하기 바랍니다. 
개인적 관점에는 개인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를 작성하는데 예를 들면 담배 줄이기, 독서하기, 저축하기, 학교 졸업, 학위 취득 등과 같이 개인적인 목표를 작성하면 됩니다.  
그리고 직업적 관점에는 직업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를 작성하는데 예를 들면 OO기업 입사, 승진/승격, 업무와 관련된 자격증 취득, 희망 연봉, 프로젝트 수행 등 직업 또는 업무와 관련된 목표를 작성합니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관점에는 인간관계, 기부, 봉사 등 개인이 아닌 사회의 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또는 의지를 작성합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개인적 또는 직업적 목표는 많이 세우지만 사회적 목표를 세우는 데는 미흡한 것 같습니다.
하지만 인간은 사회를 통해서 생산과 소비를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회구성원 중에 한 사람으로서 사회적 관점에서 목표를 세우는 것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혹시 본인 나이가 30대 이상 이신 분은 30대 이하의 계획을 세울 수 없겠지요. 이미 지난 시간이기 때문에 계획을 세울 수 없는 경우에는 계획이 아닌 실적을 주요 이슈 중심으로 작성하시면 됩니다. 
물론 지나간 세대는 작성하지 않아도 무관합니다. 하지만 작성하면서 자신을 뒤돌아 보는 것도 앞으로의 계획을 세우는데 좋은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습니다.


중기목표는 1년 단위로 10년간의 목표를 작성합니다. 장기목표 설정과 동일하게 개인적 관점, 직업적 관점, 사회적 과점으로 구분해서 작성하기 바랍니다.
중기목표와 장기목표 설정의 차이점은 10년 단위로 하느냐 1년 단위로 하느냐 구간의 차이일 뿐 형식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기간만 다르게 해서 장기목표 작성한 것처럼 작성하시면 됩니다.
중/장기 목표는 1년에서 70~80년의 미래를 설계하는 일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시간에 계획을 세운다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장기 목표 계획은 매년 새로운 목표를 추가 또는 보완해서 사용하는 것을 권합니다. 주의할 점은 너무 큰 방향을 틀거나 빈번하게 목표를 삭제하는 경우에는 전체적인 목표의 방향성을 잃을 수 있으니 이점은 유의하기 바랍니다.


단기목표는 월 단위로 1년간의 목표를 SMART기법을 활용해서 작성합니다. 여기서는 건강, 일/직업, 성장, 인간관계, 즐거움, 부/자산, 공동체로 카테고리를 나눠서 작성해보겠습니다. 


작성하기에 앞서 스마트 목표 설정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스마트 목표 설정은 측정 가능하게 수치화해서 실천 가능하고 현실성 있는 목표를 구체화시켜 기한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을 말합니다.
말이 어렵지요 그럼 예시를 보면서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목표를 세울 때 일반 사람들은 담배 끊기, 1억 모으기, 결혼하기 등과 같이 목표를 설정합니다. 이것을 스마트 목표설정 방법을 사용해서 한번 작성해 보겠습니다.

[예시]
Mission 1: 담배 끊기 
  - Task 1: 1월 1일~3월 말까지 담배를 하루에 10개피 이하로 줄이기 
  - Task 2: 4월 1일~6월 말까지 담배를 하루에 5개피 이하로 줄이기 
  - Task 3: 7월 1일~9월 말까지 한 달에 담배 한 갑으로 줄이기 
  - Task 4: 10월 1일~12월 말까지 단 한 개피도 흡연하지 않기

첫 번째, 구체화 시킨다는 의미는 위에 예시에서 하나의 미션을 여러 개의 Task로 나눠서 어떻게 실천 하겠다는 내용을 담는 것을 말합니다.
두 번째, 측정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는 담배를 10개피 이하로 줄인다 처럼 수치화해서 측정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말합니다. 단순히 담배를 끊겠다고 하는 경우 측정이 불가능 하지만 10개피라는 목표수치를 넣으면 하루에 내가 담배를 피는 양을 조절할 수 있고 체크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세 번째, 실천가능하게 한다는 의미는 예시처럼 담배를 분기별로 줄여나가다보면 결국에는 연말에 완전히 끊을 수 있게 되겠지요. 하지만 하루에 담배를 2~3갑 이상 피우는 사람이 1월 1일부터 단 한 개피도 피지 않겠다 라는 목표를 설정한다면 실천하기 어려운 목표가 되기 때문에 기간에 따라 실천 가능한 목표를 세워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네 번째, 현실성있게 한다는 의미는 예를 들어 작년까지 종합소득 2,000만원 벌든 사람이 내년 목표는 종합소득 10억으로 세운다면 현실성 없는 목표이겠지요. 물론 1년 동안 열심히 복권을 사서 당첨된다면 가능하겠지만 누가 봐도 현실성 없는 목표입니다.
다섯 번째, 기한을 명확하게 라는 의미는 예시처럼 언제부터 언제까지 무엇을 하겠다고 명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막연하게 올해 안에 담배를 끊겠다가 아니라 정확한 날짜를 명시해야 그 날짜에 맞게 목표를 실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제 다운로드 파일에서 단기목표 시트를 작성해 보겠습니다.
[작성 예시]

위에 예시에서 카테고리에 맞게 미션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그 미션을 달성할 수 있게 미션을 Task로 구체화 시킵니다.
이제 구체화 시킨 Task에 측정 가능하도록 성과지표(단위, 지표)에 수치화해서 표기합니다.
그리고 실행 계획에 어떻게 실행할 것인지 구체적으로 작성합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션 별로 목표의 중요도에 따라 가중치를 넣어줍니다.
그리고 매일 매일 실행한 목표에 대해서 실적 셀에 기입하면 됩니다.
단기목표를 보다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글오피스 문서로 양식을 만들었으니 필요하신 분은 가져다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단기목표 작성도구: 링크)
처음에는 번거롭고 어렵겠지만 습관이 되면 편합니다. 한 달만 꾸준히 사용하시다 보면 매일 매일 작성하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목표 설정에 대한 주제로 자신의 목표를 설정해 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목표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인생을 살아가는데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매년 단기 목표와 중장기 목표를 세우고 실천하면서 행복하고 성공적인 삶이 되시길 바랍니다.
다음에는 네 번째 챕터 퍼스널브랜드 구축에 대한 포스팅을 하겠습니다.

이번 포스팅 도움이 되셨나요?

도움이 되셨다면 사용하시는 SNS에 공유해주는 센스^^ (블로그 상단에 SNS버튼 이용)


[첨부파일]

  1. 장기 목표설정: https://drive.google.com/file/d/0B3xer4-6DqzUaU95bGxRQ0tMZWM/view?usp=sharing
  2. 중기 목표설정: https://drive.google.com/file/d/0B3xer4-6DqzUX1piV00tWVFfQkk/view?usp=sharing
  3. 단기 목표설정: https://drive.google.com/file/d/0B3xer4-6DqzURU05NHpfM21DY28/view?usp=sharing
  4. 단기목표 설정 도구 가이드: http://blog.matew.com/2015/07/blog-post.html


[참고문헌]
  • 임문수, 백지원, 서광희. (2007). 퍼스널브랜드 성공전략서 YOU. 서울: 넥서스Biz.
  • 이종우, 고승재 (2012). 성공하는 사람들의 목표관리 시스템. 서울: 아이웰콘텐츠
  • 댄 쇼벨 (2011). 나만의 브랜드를 창조하라. 서울: 한스미디어
  • 이너서클 펀더멘탈 (2003). Personal Branding. 서울: 씨앗을 뿌리는 사람
  • 전미옥 (2004). I am Brand. 서울: 열림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