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의 웹(1.0)의 개념이 생산자에 의해 갱신되는 정적인 HTML 페이지들의 집합이었다면 웹(2.0)은 생산자 또는 소비자가 되는 사용자에 의한 상호작용을 통해 동적인 HTML을 이끌어낸다. 이러한 동적인 웹은 컨텐츠 데이터베이스의 변화를 즉시 반영해 생성한 동적 HTML 페이지를 컨텐츠 관리 시스템이 제공함으로써 만들어졌다.
web2.0은 크게 2가지로 정의를 할 수 있는데 그 첫 번째는 사용자중심의 인터넷이며 두 번째는 참여와 개방을 표방한다.
- 사용자 중심 인터넷 : 사용자 마음대로 인터페이스 수정 및 배치(AJAX)
- 참여와 개방을 표방 : 누구나 글을 쓰고 수정할 수 있는 것(위키)
최초의 웹 2.0 컨퍼런스에서 Tim O'Reilly와 John Battelle는 웹 2.0의 특징을 다음과 같이 정리했다.
① 플랫폼으로서의 웹
② 원동력이 되는 데이터
③ 참여 시스템에 의한 네트워크 효과
④ (오픈 소스 개발과 같이) 여러 시공간에 흩어져 있는 독립적인 개발자들이 공동으로 참여해 혁신하는 시스템이나 사이트
⑤ 컨텐츠와 서비스 신디케이션을 통한 가벼운 비지니스 모델
⑥ 기존의 소프트웨어 개발 사이클과는 다른 "영원한 베타"
⑦ 롱테일의 힘을 극대화 시키는 소프트웨어 (하나의 장치에서만 동작한다는 기존의 소프트웨어 관념을 뛰어 넘어 여러 이기종(異機種) 장치에서 하나의 소프트웨어로서 구동됨)
위키 백과사전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법들이 사용된 웹사이트일 경우 웹 2.0 기술을 사용한 웹사이트라고 한다.
기술적 항목 :
① 웹표준, CSS, 의미적으로 유효한 XHTML 마크업, 마이크로포맷
② AJAX와 같은 비동기식 웹 애플리케이션 기법
③ RSS/Atom 형태의 데이터 신디케이션
④ RSS/Atom 데이터 수집
⑤ 간결하고 의미있는 URL
⑥ 웹로그 글쓰기 지원
⑦ REST 혹은 XML, SOAP 형태의 웹 서비스
⑧ 사회적 네트워크의 요소
일반 항목 :
① 컨텐츠 접근에 많은 제약이 따르는 (회원 가입제) 사이트와 같은 '울타리 친 정원'(walled garden)이 되어서는 안 된다. 사이트의 비회원을 포함하여 누구라도 공개적으로 쉽게 자료를 얻을 수 있어야 한다.
② 사용자는 사이트에서 주체로서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소유할 수 있어야 한다.
|
Cited References
|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