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의 개념 및 관련용어 정리

태그: 블로그 개념



1. 블로그


1) 블로그의 개념


  블로그는 인터넷을 의미하는 웹(web)과, 자료 또는 일지를 뜻하는 로그의(log)합성어이다. 위키 백과사전은 블로그를 ‘전형적인 블로그는 다른 블로그들, 웹 페이지 및 그것의 주제와 관련 있는 다른 매체에 텍스트, 이미지 및 링크를 결합 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A typical blog combines text, images, and links to other blogs, web pages, and other media related to its topic.’).
다시 말해 블로그는 일기 또는 일지와 같이 정기적으로 갱신되는 짧은 글들로 이루어진 웹 페이지이며 개인홈페이지와의 구별되는 점은 각 웹 페이지 마다 고유링크(permanent link)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A Blog is a web page made of usually short, frequently updated posts that are arranged chronologically : 출처 :www.blogger.com). 또한 웹 게시판, 개인 홈페이지 기능을 함께 가지고 있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제작과 관련된 전문지식이 없어도 누구나 자신의 사이버공간을 만들 수 있다. 즉 누구나 블로그만 있으면 자신의 의견이나 이야기를 올릴 수 있고, 디지털카메라를 이용해 찍은 사진 또는 동영상을 글과 함께 올릴 수 있는 웹 멀티미디어 요소가 강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1인 미디어인 것이다.
국내에서는 2001년 12월 최초의 블로그 사용자들의 모임인 웹로그인코리아(www.wik.ne.kr)가 생기면서 블로그 사용자가 나타나기 시작했고 그러다 차츰 포탈사이트에서 블로그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활성화 되었다. 국내에서는 대표적으로 네이버를 꼽을 수 있으며 가장 많은 블로그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다.

2) 블로그의 분류

(1) 블로그 사용자의 이용방식에 따른 분류

  김혜인(2005)에 의하면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누어 살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주변 친구들과 의사소통을 하거나 자신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주로 이용되는 관계 지향적 블로그이며, 두 번째는 자료나 정보를 전달, 제공하기 위한 정보 지향적 블로그로 나누어 볼 수 있다(김혜인, 2004).

가. 관계 지향적 블로그

  싸이월드(www.cyworld.com)의 미니홈피와 같이 자신의 일상을 기록하거나 자신의 사진을 찍어 올리는 수단으로 블로그를 이용한다. 미니홈피와의 차이점 이라면 미니홈피는 ‘1촌맺기’라는 기능을 통해 자신과 1촌의 관계를 맺은 지인들만 자신의 미니홈피에 글을 남기거나 볼 수 있는 권한을 줌으로써 폐쇄형서비스에 가깝고, 그에 반해 블로그는 개방형 서비스에 가까운데 그 이유는 누구나 블로그에 댓글을 남길 수 있고 누구나 RSS기능을 이용하여 블로그의 글을 RSS리더기를 통하여 구독하여 볼 수 있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미니홈피에서는 미니홈피 회원만이 상호연동이 가능하지만 블로그는 블로그 끼리의 상호연동이 되기 때문에 서로 다른 블로그서비스 사이에서도 트랙백기능을 통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블로그를 통해 지인들의 방명록에 안부 인사나 글을 남김으로써 블로그를 방문하는 지인들과 대인관계 관리에 매우 효율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따라서 블로그는 타인에게 자신을 드러내 보이고 싶은 이용자의 자기표현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다.

나. 정보 지향적 블로그

  네이버(www.naver.com)블로그에서 블로그 검색서비스가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정보 지향적 블로그 이용자들은 자신이 전문적으로 알고 있는 지식 또는 관심사에 대하여 글을 적거나, 전문적인 정보에 대한 글을 재구성하여 글을 쓰기도하며, 다른 사람들이 적은 글들을 스크랩하여 자신의 블로그에 공개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보 제공자의 블로그에 접속하는 모든 이용자는 정보제공자에 대한 관심보다는 그가 제공하는 정보의 유용성에 더 관심을 가지게 된다. 또한 그 글에 대한 댓글을 씀으로써 그 글에 관심을 표명하기도 하고 잘못된 정보에 대한 수정 조치도 취할 수 있다. 그래서 정보 지향적 블로그야 말로 가장 블로그 다운 블로그 라고 할 수 있겠다. 이렇게 정보의 블로그 내의 이용자들은 각자의 지식을 창출하고 창출한 지식은 서로 간 도움을 주고받게 된다. 그리고 블로그 내의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실제 경험을 대신할 수 있는 실전지식을 쌓을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지식을 창출하고 지식을 공유하고 지식을 얻는 일련의 순환이 지속 되면서 블로그를 통한 e-러닝 학습이 이루어지기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수많은 정보들 속에 무해한 정보도 많기 때문에 그 정보의 유효성을 선별하는 능력을 키우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2) 블로그 서비스기반에 따른 분류

  제공되는 서비스 기반에 따라 설치형과 서비스형의 두 가지 사용형태로 구분할 수 있다.

가. 설치형 블로그

  전문설치형은 자신의 블로그를 웹호스팅업체 또는 개인서버를 통해 블로그 프로그램을 직접 설치해 사용하는 방법이다.
전문 설치형 블로그는 웹 프로그램에 대한 사전지식 없이는 설치,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웹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사용하는 소수의 블로그 마니아들이 주로 사용하는 현상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웹 프로그램을 전문적으로 하지 않더라도 약간의 지식만 있으면 설치할 수 있도록 국내 웹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많은 설치형 프로그램이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업그레이드되고 있다.
  국내에서 개발된 설치형 블로그로는 태터툴즈(http://www.tattertools.com), 제로보드를 기반으로 한 조그블로그 (http://www.zog.co.kr) 등이 있다.
설치형 블로그들의 특징은 서비스형 블로그가 완전 개방형 블로그가 아닌데 반해 설치형 블로그는 완전 개방형 블로그를 표방한다. 자신의 도메인을 가지고 할 수 있으며 모든 기능을 블로그 이용자의 마음먹은 대로 설정하여 사용 할 수가 있다.

나. 서비스형 블로그

  서비스형이란 블로그서비스롤 제공하는 사이트에 가입해 블로그를 배정받아 사용하는 방법이다. 포탈 사이트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블로그를 중심으로 블로그 대중화가 이루어진 국내 상황과는 반대로 해외에서는 블로그 전문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이 만들어졌다. 개인에서부터 차츰 기업, 교육, 사회 전반으로 응용되어 가면서 블로그 전문검색엔진, 모블로그와 같은 관련 서비스가 선보이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현상과 함께 과거에는 미국에서도 블로거닷컴(www.blogger.com)과 같은 블로그 전문 업체가 블로그 시장을 주도했지만 지금은 우리나라와 마찬가지로 포탈 사이트가 블로그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홍성국, 2004).
  국내외 공통적으로는 서비스형 블로그를 주로 이용하는 현상을 보이는데 그 이유는 무료서비스이고 설치형 블로그에 비해 만들기가 쉽기 때문이다. 그에 비해 설치형 블로그는 웹 프로그램을 전혀 모르는 일반인이 설치하기에 용이 하지 않으며 웹호스팅을 통해 블로그를 이용 할 경우 웹호스팅비가 지출이 되며 따로 도메인을 만들 경우 도메인비가 추가로 지출이 되고 개인서버를 이용할 경우 그보다 훨씬 많은 비용이 든다.
  국내의 포탈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포탈형 블로그는 네이버(blog.naver.com), 엠파스(blog.empas.com), 파란(blog.paran.com) 등이 대표적이다.
서비스형과 설치형 블로그의 중간 단계로 설치형을 하고 싶으나 설치형 블로그를 사용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이용자를 위해 보다 전문화된 블로그 커뮤니티 사이트를 만들어 가입한 회원에게 블로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던 블로그 전문서비스 업체인 이글루스(www.egloos.com)가 포탈업체인 네이트(www.nate.com)에 인수되었다(2005년 5월 17일). 기존에 싸이월드의 미니홈피를 인수하여 미니홈피 시장을 주도하던 네이트는 자신의 서비스에서 가장 취약한 부분인 블로그를 이글루스의 인수로 도약할 발판을 만들기도 했다. 그외에 다음에서 운영하는 티스토리와 구글에서 인수한 텍스트큐브닷컴등이 있다.





3) 블로그의 특성과 기능

(1) 블로그의 특성

  블로그의 특징은 기존의 미니홈피와의 비교를 통해서 명확해 질 수 있는데,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은 특징으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한 개인의 편집되지 않는 목소리이다.
둘째, 최신 글 순서로 배치되므로 항상 최근 글이 가장 위에 올라온다.
셋째, 고유링크 페이지에 실린 글들에 연관된 댓글과 트랙백을 통해 블로그 끼리 서로 그물망처럼 연결되어 있다.
넷째, 주로 짧은 일지 형태의 글을 자주 올리므로 사이트가 자주 갱신(update)된다.
다섯째, 작성한 글은 html문서로 저장되고 개별 엔트리(entry, 글, 포스트) 마다 각각의 고유한 주소(permanent link)를 가진다.
여섯째, 발행 +반영 +고유링크 (publish + reflect + permalink)성격을 가지고 있다.
(출처 :호찬넷,http://hochan.net/archives/2003/08/11@04:20PM.html)

(2) 블로그의 기능

가. 엔트리 (entry, 포스트(post), 글, 문서, 게시물)
  블로그에 올린 글을 의미하며 포스트(post)라고도 불린다. 블로그를 구성하는 최소 단위라고 볼 수 있다.


나. 고유링크 (퍼머링크, permanent link)

  블로그는 작성한 글은 html문서로 저장되고 개별 포스트 마다 각각의 고유한 주소(permanent link)를 가진다. 이것이 게시판의 게시물이 DB의 저장될 때 자동으로 생성되는 게시물 고유번호로 지정되는 것과 비슷한 개념으로 블로그의 글은 고유링크를 이용해 언제 어디서나 그 포스트를 찾아서 볼 수 있다. 고유링크 주소는 변치 않고 그 포스트가 삭제 될 때 까지 계속 가지게 된다.

다. 블로깅 (Blogging)

  블로깅이란 다른 사람의 블로그에 방문하여 글을 보거나,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쓰는 행위를 블로깅(blogging) 이라고 부르며 블로그 활동을 하는 것을 뜻하는 말로 사용된다.

라. 블로거 (Blogger)

  블로그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 좁게는 블로그를 운영하는 사용자를 말한다.

마. 코멘트 (comment, 덧글, 댓글)

  코멘트(Comment)는 포스트에 담긴 글에 대해 방문자가 자신의 짧은 소견을 남길 수 있다. 코멘트를 작성하면서, 자신의 필명과 블로그 주소를 남김으로써 인터넷에서 블로그 끼리의 연결고리 역할을 담당한다. 이는 방문자 자신의 블로그로의 접근을 유도하며 상호교류를 가능하게 한다.

바. 아카이브 (archive, 지난 글)

  아카이브란 날짜별로 정리된 포스트의 목록 또는 히스토리(history)로서 포스트가 어느 정도 쌓이게 되면 예전에 쓴 포스트를 날짜별, 월별로 찾아보고 싶을 때 이용된다.

사. 트랙백 (trackback, 먼댓글), 트랙백 핑(ping)

  트랙백은 원격으로 댓글을 쓰고 이를 알려주는 기능이다. 초기 블로그에는 없던 새로운 기능이며. 트랙백은 댓글(comment)기능의 확장판이라고 볼 수 있다. 기존의 댓글은 해당 블로그에 포스트를 읽고 난 뒤 답변이나 감상문을 적는 기능이며 댓글은 해당 포스트 하단에 남겨지게 된다. 그러나 트랙백은 이보다 좀더 개선된 기능으로 다른 곳에 댓글을 남기는 기능이다. 즉 해당 게시물에 대해 댓글을 달되 다른 사이트에서 원격으로 댓글을 다는 행위를 말한다.
이전에는 A 블로그의 'Ping'이라는 포스트에 대해 댓글을 남길 경우 이 댓글을 보기 위해서는 A 블로그의 'Ping' 게시물에 댓글을 적었던 곳 에서만 볼 수 있었다. 그러나 트랙백을 이용한다면 자신의 블로그에서 A 블로그의 'Ping'이라는 댓글을 적고 적었다는 것을 트래핑을 통해 A 블로그에 남겨주는 것이다.
  예를 들어 ping을 읽고 독서 감상문을 올렸다고 생각하고 이 글이 공감되는 글이라면 공감하는 사람들로부터 댓글이 수 십 개 이상 올라오겠지만 댓글을 쓴 사람과 연결되기는 어렵다. 반면 트랙백의 형태로 글을 쓴다면 다음과 같은 점이 달라진다.
'ping' 글에 대하여 공감하는 블로거들이 글을 남김으로써 관련 그룹이 형성되어지고 관련 블로거들이 운영하는 블로그를 클릭 한 번으로 방문할 수 있다. 즉 'ping' 글을 한 편 올림으로써 'ping'과 관련된 그룹이 트랙백을 통해 수집되는 것이다. 따라서 '콘텐트 수집(content aggregation)'이 매우 용이해지는 것이다.
'ping' 글 하나를 통해 'ping'과 관련된 블로그들이 뭉치게 되고 블로거들은 'ping' 관련 블로그들을 골고루 돌아다닐 수 있게 된다. 하나의 글이 해당 블로그에서 게시물 하나로 끝나지 않고 관련 블로그들을 취합함으로써 'ping'에 대한 하나의 그룹이 형성되어지는 결과를 가지는 것이다.
  이러한 트랙백 형태로 글을 올리면 기존의 댓글보다 편리한 점은 트랙백은 두 블로그 사이트 사이에 연락을 취하는 수단이 된다. 트랙백을 통해 A는 B블로그의 글에 관심이 있다는 것을 표명할 수 있고 B는 A라는 사람이 자신이 쓴 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트랙백은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새롭게 작성하는 것이므로 기존 댓글이 지닌 단점을 대부분 보완할 수 있다. 한두 줄의 짧은 텍스트가 아니라 사진이나 동영상이 들어간 제대로 형식을 갖춘 HTML 문서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자신의 트랙백으로 쓴 글이 또 다시 트랙백의 대상이 되거나 링크의 대상이 된다.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원격 댓글은 단지 블로그에 'ping'이라는 독서 감상문 하나를 올린 것만으로도 그에 공감하는 블로거들이 트랙백을 함으로써 하나의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트랙백기능을 이용하여 튜터의 블로그에 국한되지 않고 열린 블로그 속에서 먼 댓글을 작성함으로써 하나의 독서교육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것이다. 별도로 커뮤니티를 만들지 않더라도 트랙백 속에서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는 형성되어진다. 물론 특정 블로그가 아니어도 무관하며 어떠한 블로그에서도 트래백 기능만 주어진다면 가능하다.

아. RSS Feed (XML)

  RDF Site Summary, Really Simple Syndication, Rich Site Summary 등의 이름으로 사용되며, 다양한 웹 사이트 상의 컨텐츠를 요약하고, 상호 공유하고 주고받을 수 있도록 만든 표준이다.
최근에 1인미디어로 각광받고 있는 블로그, 검색엔진, 뉴스 등에서 RSS를 지원한다. RSS란 뉴스, 블로그 등 자주 갱신되는 성격의 사이트를 위해 고안되었으며 블로그 또는 뉴스의 모든 내용이 RSS와 ATOM등에 의해서 XML 기반의 형식으로 해당 내용에 대한 링크와 간략한 내용을 담아 이를 이메일처럼 RSS리더기를 통해 구독하여 볼 수 있다. 블로그에서 보면 하단에 XML이라는 아이콘 또는 RSS라는 아이콘이 존재하는데 그 아이콘을 클릭하면 RSS FEED파일을 볼 수 있다. 이메일에서 스팸(SPAM)이 난무하는 가운데 이메일을 상당부분 대체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는 RSS는 사용자의 사용목적과 용도에 따라 대단히 유용한 도구라 할 수 있다.
  RSS를 활용하는 방법으로는 RSS리더기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RSS Feed를 등록한 후 RSS리더기에 등록된 뉴스나 블로그 등을 아웃룩에서 메일을 확인하듯이 실시간으로 블로그에 올라온 글들을 확인하여 볼 수 있다.
직접 해당 싸이트나 블로그를 방문하지 않고도 아웃룩에서 이메일을 확인하듯이 RSS리더기를 통해 지인들의 블로그나 보고 싶은 뉴스 등을 골라서 구독하여 볼 수 있는 것이다.

 Cited References


  • 혜영 (2005). ‘1인 미디어’이용과 충족에 관한 연구 : 블로그와 미니홈피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성균관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수원.
  •  고성혜한유진 (1995). 편모가정 청소년의 가정환경 개선에 대한 지각. 한국청소년 연구 20호.
  • 김상균 (1997). 학생비행 예방 및 선도를 위한 복지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대 사회복지연구소, 서울.
  • 김고은 (2005). 개인의 문화적 자기(self)가 블로그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서울.
  • 김혜인 (2005). 관계지향적 블로그 이용자 세분화와 인터넷 마케팅 전략.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서울.
  • 박용제 (2005). 블로그의 트랙백과 RSS의 효과적인 활용방안. 석사학위 논문. 강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강원.
  • 신지영 (2003). 온라인 커뮤니티기반 블로그에서 회원간 프라이버시 인지가 회원활동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경영대학원, 서울.
  • 신나희 (2003). 한국형 블로그(blog)에 관한 연구 : 포털 서비스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서울.
  • 이연숙 (2004). 네트워크 커뮤니케이션 공간으로서의 블로그 분석 및 특성 연구 : 블로그 아이덴티티 구축의 활성화를 위하여.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서울.
  • 이재길 (2005). 네트워크 중심으로 만들어진 브랜드 커뮤니티 활용에 관한 연구 : 네이버 블로그와 싸이월드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서울.
  • 이지영 (2005). 효과적인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블로그 학습 체제의 개발. 석사학위 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 주성수 (1998). 기업-대학 사회봉사 파트너 십. 한양대학교 제3섹터 연구소.
  • 지정용 (2005). 블로그의 저널리즘 기능 연구 : 블로그 컨텐츠 인용보도 분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연세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서울.
  • 최선희 (2004). 블로그를 통한 시각적 자아표현과 사용자 만족에 관한 연구 : 미니홈피를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
  • 홍성국(2004). 블로그의 속성과 이용 동기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서강대학교  대학원. 서울.
  • Stuart, Avery. Gold.(2006). Ping : A Frog in Search of a New Pond. (유영만 옮김). 서울 : 웅진윙스.
  • 네이버 백과사전
    [2006. 5. 21자 기사]
  • 호찬넷. (2003.8.11).
    http://hochan.net/archives/2003/08/11@04:20PM.html

댓글